결과물
PC 화면과 휴대폰 화면이 연동되도록 하고 싶은 경우 아래의 방법을 따라하면 된다.
이를 이용해 IP 변경, 매크로 제작 등에 이용할 수 있다. (여러 사람들에게 메시지 보내는 반복 작업을 할 때도 사용한다고 한다.)
ADB란?
Android Debuging Bridge의 줄임말이다. Android 휴대폰에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(라이브러리)라고 보면 된다.
방법
1) 구글에 'adb android download' 을 검색하여 사이트에 들어가거나 아래 사이트에서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도구를 다운로드 받습니다.
https://developer.android.com/tools/releases/platform-tools?hl=ko
SDK 플랫폼 도구 출시 노트 | Android Studio | Android Developers
Android SDK 플랫폼 도구는 Android SDK의 구성요소입니다.
developer.android.com
2) 설치된 ADB 파일을 압축해제하고 platform-tools 폴더를 C 드라이브에 옮겨놓습니다.
3) '시스템 환경 변수' 을 켜줍니다.
4) '환경 변수'를 클릭합니다.
5) 시스템 변수에서 [Path]을 선택 > [편집] > 환경 변수 편집 탭에서 우측 [새로 만들기] > 'C:\platform-tools' 입력 > [확인]
6) 개발자 모드 활성화
휴대폰과 PC을 USB 단자로 연결하고 휴대폰의 [설정]에서 [휴대전화 정보] > [소프트웨어 정보] > 개발자 모드가 활성화 될 때까지 [빌드번호] 를 계속 클릭
7) 설정에서 [개발자 옵션] > [USB 디버깅] 사용
8) PC에서 [윈도우 키] + [R] 을 누르고 cmd을 킨 다음 adb devices 명령어 입력
9) 구글에 'scrcpy' 을 검색해서 상단에 뜨는 깃허브 페이지에서 windows, Linux, macOS 을 알맞게 선택해 다운로드 받거나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후 압축 해제
windows : https://github.com/Genymobile/scrcpy/blob/master/doc/windows.md
Linux : https://github.com/Genymobile/scrcpy/blob/master/doc/linux.md
macOS : https://github.com/Genymobile/scrcpy/blob/master/doc/macos.md
10) 압축해제한 scrcpy 폴더를 C 드라이브에 놓는다.
11) '시스템 환경 변수' 을 켜줍니다. (3~4번 참고)
12) 시스템 변수에서 [Path]을 선택 > [편집] > 환경 변수 편집 탭에서 우측 [새로 만들기] > 'C:\scrcpy-win64-v2.3.1' 입력 > [확인] (5번 참고)
13) cmd을 켜서 'scrcpy' 명령어를 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