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개발새발 대외활동/PM | 스파르타코딩클럽 IT 교육 매니저 프로그램

아티클 | 7. 교육 운영 매니저의 커뮤니케이션 방법

by 카랑현석 2025. 1. 23.

오늘의 아티클

 

🅰 교육 운영 매니저가 듣고, 말하고, 읽고, 쓰는 방법 👩‍🏫 : "디지털"한 일잘러 되는 비법

👩‍🏫 교육 운영 매니저가 듣고, 말하고, 읽고, 쓰는 방법에이블런에서는, 국내 최초로 비전공자를 위한 AI 및 데이터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요. AI 및 데이터 활용의 문턱을 낮추고, 더 많은 사

ablearn.kr


아티클 요약

✅ Summary

더보기

교육 운영 매니저를 위한 핵심 커뮤니케이션 포인트

  • 👂 적극적으로 듣기
  • 🗣️ 다정하게 자극하기
  • 📖 글의 목적을 파악하고 반복해서 읽기
  • ✍️ 복잡한 개념을 구조화해서 전달하기
  • 📝 피드백 수용하기

시작하며

에이블런의 교육 운영 매니저의 커뮤니케이션 비결은 무엇일까?

에이블런은 비전공자도 AI와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국내 최초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교육 운영 매니저는 이 과정의 시작부터 끝까지 관여한다. 교육 프로그램 기획, 수강생 모집과 선발, 교육 운영, 결과 보고를 통해 교육 운영 매니저가 어떻게 커뮤니케이션을 하는지 알아보자.


👂 듣는 방법: 적극적으로 듣기

  • 단순히 듣는 것을 넘어 상대의 관점을 이해하고 감정과 핵심 메시지를 파악하는 경청이 중요
  • 상대방의 말을 분석하거나 해석하기보다는 공감적으로 듣는 것을 의미

🗣️ 말하는 방법: 다정하게 자극하기

  • 교육생, 강사, 이해관계자들에게 긍정적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'질문'을 활용한다. → 조언보다는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돕는 역할
  • 다정한 태도로 상대방의 감정에 공감하며 비언어적 신호를 통해 존중 받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도 중요

📖 읽는 방법: 글의 목적을 파악하고 반복해서 읽기

  • 교육생들이 공지를 명확히 이해하도록 간결하고 체계적인 글쓰기가 요구됩니다. 글을 읽을 때는 숨은 목적을 파악하고 반복적으로 읽어 핵심 내용을 명확히 이해한다.
  • 교육 분야 최신 트렌드와 강의 자료를 탐독하는 습관이 필요 → 독해력

✍️ 쓰는 방법: 복잡한 개념을 구조화하여 전달하기

  • 선발 통보, 공지, 개인 메시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진행
  • 효과적인 글쓰기를 위해 MECE(Mutually Exclusive, Collectively Exhaustive) 같은 구조화 기법을 활용
  • 간결하고 쉬운 언어로 핵심 내용을 요약하는 것이 중요

📝 피드백 수용하기

  • 피드백 = 의사소통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
  •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교육생과 관계자의 솔직한 의견을 얻고 이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. → 피드백 수용력

고민해볼 점

❓ 어떻게 교육생의 솔직한 의견을 들을 수 있을까?

  • 교육생과 운영 매니저가 친하지 않아 솔직하게 이야기하지 못할 수도 있고 내향적인 성향의 교육생은 솔직하게 이야기하지 못할 수도 있는데 어떻게 솔직한 의견을 들을 수 있을까?

교육운영 PM이 되어 적용해본다면?

교육생의 솔직한 의견 듣기

목표: 교육 운영 매니저는 교육 과정의 프로덕트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생의 솔직한 의견을 듣는 것이 중요하지만 솔직한 진짜 의견을 듣기는 어렵다. 교육 과정 중 혹평을 하면 평가에 좋지 않은 영향이 가는 것에 걱정을 하는 교육생도 있고 내향적인 성격의 경우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기 어려움을 겪고 있다.

교육생들의 솔직한 의견을 들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는 없을까?

더보기

교육 운영 매니저 ↔ 교육생 소통 사이에 ‘강사’ 활용하기

💡 실행 방안

강사와 교육생은 계속 보아야 하기 때문에 강의 후반으로 갈수록 친해질 가능성이 높다. 이를 활용한다.

  • 강사의 협조 요청
    • 교육 시작 전에 강사에게 교육생 의견을 수집하는 역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강사에게 간접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한다.
  • 강사와 교육생이 친해질 수 있는 환경 마련
    • 밍글링 데이 등의 행사에서 강사와 교육생이 함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한다.
  • 강사-운영 매니저 간 소통 채널 마련:
    • 강사와 운영 매니저가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비공식 회의를 1~2주마다 1회씩 강사 미팅을 열어 피드백을 공유한다.
    • 강사가 교육생의 피드백을 운영 매니저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 Slack 채널, 구글 문서 등의 소통 채널을 제공한다.

👍 기대 효과

  • 교육생과 교육 매니저보다는 교육생과 강사와 더 대면할 기회가 많다. → 강사와의 대화에서 더 솔직한 피드백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.

피드백 문화 형성

목표: 피드백을 해봤자 안 바뀌던데? 의 인식에서 → 이거 피드백 하니까 바로 개선되었어! 의 인식으로 변환

더보기

💡 실행 방안

  • 교육 첫날 피드백의 중요성 강조 :
    • 교육 첫날 오리엔테이션에서 교육생들에게 피드백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명한다.
  • 빠른 피드백 반영 사례 공유 :
    • 이전 교육에서 피드백을 반영하여 개선된 사례를 소개하고피드백이 실제로 반영된다는 신뢰를 심어준다.
    • Ex) "지난 교육에서 교재 내용이 어렵다는 의견을 주셔서 이번에 더 쉬운 예제와 함께 업데이트 했습니다."
  • 피드백 결과를 공개적으로 공유 :
    • 교육 중간이나 마지막에 받은 피드백을 요약하여 지속적으로 교육생들과 공유한다. (slack 등 활용)
  • 소규모 피드백 세션 도입 :
    • 공식 설문조사 외에도 소규모 그룹으로 나눠 교육생들과 간단한 피드백 세션을 진행한다.
    • 운영 매니저가 직접 주재하기보다 강사가 진행하도록 하여 교육생들이 더 편안한 분위기에서 의견을 낼 수 있게 한다.
    → 점심 시간 활용 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