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의 아티클
교육운영 PM 인턴 (IT 직무 부트캠프)
팀스파르타의 채용공고를 확인해 보세요.
career.spartacodingclub.kr
팀스파르타 채용 문답: 당신의 궁금증을 해결해드립니다! - 팀스파르타 팀블로그
이 글 하나로 팀스파르타 채용 전부 이해 완료 ! | 팀스파르타, 피플
blog.career.spartacodingclub.kr
팀스파르타 채용 절차❓
1️⃣ 서류 전형❓
- 자기소개서 ❌
- 이력서 ✅ + 포트폴리오 ✅ (포트폴리오는 특정 직무에 해당)
- ⭐ **채용 공고의 ‘이런 분을 찾고 있어요’**의 내용과 fit 한 사람인지 체크
2️⃣ 화상 인터뷰 or 과제 전형❓ ⇒ 비대면 실무자 면접
- 화상 인터뷰
- 이력서, 업무 역량 기반의 비대면 인터뷰 (20~30분) → 직무 면접 (금융IT의 1차 면접과 유사)
- ⭐ 회사에 대한 질문 중요 → 팀스파르타는 전체적으로 질문을 중요시 하는 것 같음.
- 과제 전형
- 실무와 밀접한 과제가 주어짐
- ⭐ 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하는 역량, 논리적 사고 역량
3️⃣ 실무 인터뷰❓ ⇒ 대면 실무자 면접
- 부서 리더/팀원급 면접 →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을 어필하는 것이 좋아보임.
- 직무, 문제 해결 중심의 면접 질문 (30~40분) → 직무 면접 (금융IT의 1차 면접과 유사)
- 복장 제약은 없으나, 깔끔하게만 (정장 ❌)
4️⃣ 컬쳐핏 인터뷰❓= 대면 임원 면접
- 대표/팀 리더 면접
- 인성, 경험, 가치관 중심의 인성 면접 질문 → 임원 면접 (금융IT의 최종 면접과 유사)
- ⭐ ‘빠르게’, ‘와우하게’, ‘진정성있게’ 는 팀스파르타의 핵심 가치
- ⭐빠르게 : 간결하게 일하기 → 해야 할 일과 하면 좋은 일을 구분하기
- 와우하게 : 고객이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감동을 맞이할 수 있게 일하기 →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기
- 진정성있게 : 팀스파르타를 선택하여 시간을 쓰는 것에 고마움과 책임감을 느끼기 →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기
팀스파르타 입사를 위한 Tip❓
팀스파르타 채용에 대해 알고 싶은 것이 있다면?
콜챗 신청하기
팀스파르타의 채용공고를 확인해 보세요.
career.spartacodingclub.kr
어떤 포지션에 지원할지 고민된다면?
💌 인재풀 등록하고 포지션 오픈 알림받기
팀스파르타의 채용공고를 확인해 보세요.
career.spartacodingclub.kr
팀스파르타의 일상을 알고 싶다면?
팀스파르타의 업무 분위기를 알고 싶다면?
팀스파르타 팀블로그
"누구나 큰일 낼 수 있어" 팀스파르타는 저마다 가슴 뛰는 자기 일을 하나씩 갖고 사는 세상을 만들고자 합니다. 큰일 내는 세상을 만드는 팀스파르타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담아보았습니다.
blog.career.spartacodingclub.kr
👨👨👧👧팀스파르타의 온보딩 기간
- 입사 전 : 선물 받은 책 독서, 멤버 카드와 이름표 한 마디 작성
- 1일 차 : 오리엔테이션과 본진 투어, 랩탑 및 프로그램 세팅, 팀원들과의 인사
- 1주 차 : 팀 적응을 도와줄 버디와의 버디 식사, 팀장님과의 식사 등 특별한 점심 이벤트
- 2주 차 : 버디와의 티타임, 나와 비슷한 관심사를 지닌 다른 팀 팀원들과 관심사 식사
- 한달 차 : 피플 매니저, 동기들과 식사하며 한 달 회고, 히스토리 세션과 예쁘게 말하기 세션
오늘의 팀스파르타 The More Information
🤖 CRM 메시지 검수를 slack의 봇으로 자동화
https://blog.career.spartacodingclub.kr/automation
고민해볼 점
❓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, 빠르게 개설하고 피드백을 반영하여 운영하는 것과 조금 느리지만 완성도 있게 준비하여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, 어떤 것이 더 좋을까?
✅ 기본적으로, 빠르게 개설하고 피드백을 반영하여 운영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
- 핵심 요소(커리큘럼 기본 틀, 주요 콘텐츠, LMS 환경)이 없는 경우라면 이를 최우선으로 해결하고 LMS를 통한 수요자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의 기대치와 조정하는 과정 필요 → MVP 접근 방식
- IT 교육 특성 상 이론적으로 완벽하게 설계된 프로그램도 실무에서는 의도와 다르게 작동될 수 있다.
- 교육 프로그램은 트렌드와 시장 요구에 민감하다. 빠르게 개설하면 경쟁사보다 먼저 시장에 대응할 수 있고 초기 고객을 확보하여 피드백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개선할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.
교육운영 PM이 되어 적용해본다면?
✅ 강사의 관찰과 수강생 설문조사의 시너지를 활용
- 부트캠프 기간이 길수록 “강사”와 수요자인 “수강생”의 친밀도는 올라감 → “수강생”의 불만이나, 수준을 파악하기 가장 좋다. (비공식적 소통 창구)
- 동시에 수강생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운영에 반영
- Ex) 설문에서 "과제가 너무 어렵다"는 응답 비율이 높은 주차에 강사도 "학생들이 해당 과제에서 많이 지체" 했다고 보고했다면 과제 난이도 조정 및 이해도 점검 필요
- 반 강사와 학생의 친목 도모 프로그램 실행 → 자연스럽게 비공식적 소통 창구 마련
- Ex) ‘몸으로 말해요’ 우승 팀은 반 전체 회식비 지원
- 아래와 같은 교육 피드백 체계 구축
- 수강생 → 강사 → APM → P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