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ML 태그 vs 속성
<img src="pic1.jpg" alt="이미지 없음">
태그 : img
속성 : src, alt
첫 HTML
vscode에서 ! 입력 후 enter
<!DOCTYPE html> <!-- 이 문서는 html5 문서를 쓸 것이라는 것을 browser에게 알려주는 역할 -->
<html lang="ko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 <!-- 문자 인코딩 설정 --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<title>여기는 웹 페이지 상단 제목입니다.</title> <!-- 문서 제목 설정 -->
</head>
<body>
</body>
</html>
<head>
- 페이지 연결
<link> : 외부 CSS 파일 연결
<head>
<link rel="stylesheet" type="text/css" href="/examples/media/expand_style.css">
</head>
<style> : CSS 정의
<head>
<style>
body { background-color: lightpink }
h1 { color: red; }
p { text-decoration: underline; }
</style>
</head>
<script> : 외부 JS 연결이나 정의
<script type="application/javascript">
document.getElementById("para").innerHTML = "자바스크립트가 실행되었습니다.!";
</script>
<body>
- 외우지 말고 https://www.w3schools.com/tags/default.asp 사이트에서 찾아보기
<table> 태그 (실습 중요★★)
- 과거에는 화면 배치를 table 태그로 했었다. (현재는 div 태그로 대체)
<table> : 표의 테두리를 만들어준다.
<tr> : 가로 줄 한 줄을 만들어 준다. (table row)
<th> : 표의 제목을 진하게 표현해준다. (table heading)
<td> : 한 칸을 만들어 준다. (table definition)
속성값으로 width, height을 줄 수 있다.
colspan 속성 : 가로 병합
rowspan 속성 : 세로 병합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<title>여기는 웹 페이지 상단 제목입니다.</title>
</head>
<body>
<table border="1">
<tr>
<th colspan="2">지역별 홍차</th>
</tr>
<tr>
<th rowspan="3">중국</th>
<td>정산소총</td>
</tr>
<tr>
<td>기문</td>
</tr>
<tr>
<td>운남</td>
</tr>
<tr>
<th rowspan="4">인도 및 스리랑카</th>
<td>1</td>
</tr>
<tr>
<td>2</td>
</tr>
<tr>
<td>3</td>
</tr>
<tr>
<td>4</td>
</tr>
</table>
</body>
</html>
<form> 태그 (실습 중요★★★)
[다양한 입력 형식]
블록(block) 태그 vs 인라인(inline) 태그
블록(block) : 한 줄 전체에 적용
- ex) div 태그
인라인(inline) : 한 줄 안에서 처리
- ex) span 태그
시멘틱 태그
웹 페이지가 복잡해지면, 태그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기 어렵다. -> 시멘틱 태그를 사용해서 태그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 수 있도록 한다.